2025-03-10 (월)
📌 오늘 배운 핵심 요약✅ select, selectNew, selectFrom의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 like와 containOrNull의 차이를 구분하여 null 안전성 고려✅ EmbeddedId 내부 필드 접근 시 path(EmbeddedId, Field) 방식 활용✅ JDSL과 JPQL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JDSL의 장점을 이해✅ KProperty1, KFunction1을 활용하여 프로퍼티 및 메서드 참조하는 방법 숙지✅ :: 연산자를 활용한 프로퍼티, 함수, 생성자 참조 활용법 학습1️⃣ select, selectNew, selectFrom 차이점JDSL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하는 select, selectNew, selectFrom의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se..
2025. 3. 10.
2025-03-05 (수)
✅ 오늘의 핵심 정리N+1 문제는 패치 전략과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fetch join 또는 EntityGraph로 해결할 수 있다.반복 주기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최적화하고, 필수/선택 필드를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쉼표로 구분된 데이터를 저장할 때, 길이 계산을 통해 적절한 VARCHAR 크기를 설정해야 한다.다양한 유형의 ID가 포함될 경우, 이를 구분할 타입 필드를 추가하는 것이 유지보수에 유리하다.RESTful API 명세를 작성할 때, 요청 구조, 필터링, 페이지네이션, 응답 데이터, 에러 핸들링을 철저히 설계해야 한다.1️⃣ N+1 문제와 Fetch Join글로벌 패치 전략(EAGER, LAZY)과 관계없이 N+1 문제는 발생할 수 있다.EAGER의 경우, JPQL 실행 시 연관된 엔티..
2025. 3. 5.